나의 이야기

객가인이 주는 교훈

쑨아이 2010. 1. 3. 15:19

※객가인이 주는 교훈

百聞不如一見:

百聞不如一行:실제로 행동에 옮겨본다. 지켜만 보지 말고, 실제 접해보라.

1. 무리(仲)의 철칙

- 늑대가 많으면 사람을 잡아먹고 사람이 많으면 늑대를 잡아먹

는다

- 돼지는 살찌는 것을 두려워하고 사람은 유명해지는 것을 두려

워한다

- 사람은 옷맵시가 필요하고, 불상은 금장이 필요하다

- 장사를 잘 하려면 애교가 필요하다

- 진흙 보살이 물을 건넌다

- 사람을 치더라도 얼굴은 때리지 말고 사람을 모욕해도 단점

은 들춰내지 말라(일본사람이 미움받는 이유).

- 남을 도울 때는 이런저런 사정을 잘 알고 도와라

- 태태(太太)가 죽으면 길거리에 백색이 넘치고, 대관이 죽으면 관

맬 사람도 없다.

- 순한 말에 사람이 올라타고 착하기만 한 사람은 속임을 당한

- 바람을 보고 돛을 써야 한다

- 시시비비는 여러 사람의 입에서 나온다

- 호랑이도 낮잠 잘 때가 있다

- 산에 호랑이가 없으면 개도 왕 노릇을 한다

- 끈과 인사는 매듭을 잘 지어야 한다

-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대 팥 난다

- 사귀는 것은 쉽지만 고르는 것은 어렵다

- 묘에는 혼자 들어가지 말고 우물은 두 사람이 함께 들여다보

지 마라

- 손바닥은 손등을 볼 수 없다

- 하루의 노여움을 견디면 백 일 동안의 우환을 면할 수 있다

- 웃는 사람의 가슴 속에는 칼이 들어 있다

- 오로지 꽃만 취하고 가시는 집지 말라

- 귀신을 만나면 귀신의 말을 쓰고 사람을 만나면 사람의 말을

쓴다

- 목소리가 크다고 진리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

- 남의 잔을 받아들면 그 사람에 복종하지 않을 수 없다

- 우산은 끝까지 펴지 말고 말은 하고픈 대로 다하지 말라

- 나무에 물을 줄때에는 뿌리에 주고 사람을 사귈 때에는 마음

으로부터 사귀어라

- 어느 집 정원에도 줄기가 굽은 나무는 있는 법이다.

-칼은 돌로 연마되고, 사람은 세상으로 연마된다.

-淸規와 陋規

-진흙보살이 물건넌다(능력이 없이 나서는 사람).

-자신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보다 좋은 인상을 주려는 노력이 필요, 실력을 충분히 드러내지 않으면 세상이 그를 알아주지 않는다-옷이 날개

-돈 많은 사람들은 온갖 고뇌를 짊어진 듯한 표정을 하거나 또는 오만불손한 태도를 보이지만, 객가인의 상인들은 상대방의 기본을 풀어주는 자연스러운 웃음으로 대한다.

-官尊民卑